본문 바로가기
잡학잡식들!

구속이후 절차는?간단하게

by ⓙ.ⓙⓛⓐⓑⓢ 2025. 1. 19.
반응형

구속이란, 범죄 혐의를 받는 사람을 일정 기간 동안 유치장이나 교도소에 가두어 두는 것을 말합니다. 구속은 범죄 혐의가 중하고 도망갈 우려가 있거나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을 때 법원의 영장에 따라 이루어집니다.


구속 이후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속영장 발부: 검사는 범죄 혐의가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법원에 구속영장을 청구하고, 법원은 심사를 거쳐 구속영장을 발부합니다.

체포 및 구치소 이송: 경찰은 발부된 구속영장에 따라 피의자를 체포하고 구치소로 이송합니다.

구속기간 연장 신청: 검사는 필요한 경우 구속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법원에 신청할 수 있습니다.


불구속 기소 또는 구속 기소: 검찰은 수사를 마무리하고 사건을 법원에 기소합니다. 이때 피의자를 계속 구속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불구속 기소를, 계속 구속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구속 기소를 합니다.
공판: 법원은 기소된 사건에 대해 공판을 열고 증거를 심사하여 유무죄를 판단합니다.
판결: 법원은 공판 결과를 종합하여 유죄 또는 무죄 판결을 선고합니다.

 


구속 이후 피의자의 권리


변호인 선임권: 피의자는 변호인을 선임하여 자신의 방어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진술 거부권: 피의자는 자신의 불리한 진술을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교통권: 변호인과 접견할 권리가 있습니다.
우편 및 통화: 일정한 범위 내에서 우편 및 통화를 할 수 있습니다.


구속 이의 신청


피의자는 구속에 불복하는 경우 법원에 구속적부심을 청구하여 구속 상태를 부당하다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