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잡식들!

부당해고 판단 기준은? 간단하게

by ⓙ.ⓙⓛⓐⓑⓢ 2024. 12. 30.
반응형

부당해고란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하는 것을 말합니다. 근로기준법은 사용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를 금지하고 있으며, 부당해고를 당한 근로자는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부당해고 판단 기준


부당해고 여부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됩니다.

 

해고 사유의 정당성:
객관적인 사유 존재 여부: 근무태만, 성실의 의무 위반 등 근로자가 책임져야 할 사유가 있어야 합니다.
비위 행위의 정도: 비위 행위의 정도가 해고라는 중징계를 내릴 정도로 중대한 것이어야 합니다.


절차의 적정성:
해고 사유에 대한 설명 기회 부여: 해고 사유를 근로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소명할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징계 규정 준수: 회사 내부 징계 규정에 따라 적절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객관성 및 공정성:
비슷한 사안에 대한 일관된 적용: 다른 근로자에게 동일한 비위 행위가 있었을 경우 동일하게 처벌해야 합니다.


해고 예고:
30일 전 해고 예고: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해고 30일 전에 근로자에게 해고를 예고해야 합니다.

 


부당해고의 예시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근무 성적이 양호하고 특별한 비위 사실이 없는 경우 해고
해고 사유 부당: 근무 태만을 이유로 해고했지만, 실제로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업무에 지장을 초래한 경우.
절차상 하자: 해고 사유를 설명하지 않고 즉시 해고한 경우, 징계위원회를 거치지 않고 해고한 경우.


부당해고 시 대처 방법
증거 수집: 급여 명세서, 근무 평가, 징계 관련 서류 등 증거를 확보합니다.
노동 상담: 변호사, 노무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여 법률적인 조언을 구합니다.
노동위원회 구제 신청: 부당해고를 당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노동위원회에 구제 신청을 합니다.


주의: 위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이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법률 관계가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법률 상담은 변호사 또는 노무사에게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