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Obstructive Sleep Apnea, OSA)
해부학적 요인:
기도 주변 조직의 비대: 편도, 아데노이드, 혀, 연구개 등이 비대해져 기도를 막을 수 있습니다.
작은 턱 또는 후퇴된 턱: 턱의 크기가 작거나 뒤로 물러난 경우 기도가 좁아질 수 있습니다.
비만: 목 주변 지방 조직의 증가로 인해 기도가 좁아질 수 있습니다.
코 막힘: 비중격 만곡, 비염 등으로 인해 코가 막히면 구강 호흡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도가 좁아질 수 있습니다.
생활 습관:
음주: 술은 근육을 이완시켜 기도를 좁힐 수 있습니다.
흡연: 흡연은 기도 염증을 유발하고 기도를 좁힐 수 있습니다.
수면 자세: 등을 대고 자는 자세는 혀와 연구개가 뒤로 쳐져 기도를 막을 수 있습니다.
기타 요인:
노화: 나이가 들면서 기도 주변 근육의 탄력이 감소하여 기도가 좁아질 수 있습니다.
남성: 남성은 여성보다 수면무호흡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가족력: 가족 중에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Central Sleep Apnea, CSA)
신경계 문제:
뇌졸중, 뇌종양, 뇌염 등 뇌의 호흡 조절 기능에 영향을 주는 질환
심부전, 신경근육 질환 등 호흡 조절 기능에 영향을 주는 질환
고지대:
고지대에서는 산소 농도가 낮아져 호흡 조절 기능에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정 약물:
마약성 진통제, 일부 수면제 등은 호흡 중추를 억제하여 수면무호흡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